신흥사

자연과 더불어 삶의 지혜를 스스로 갖게 하는 곳 백련산 신흥사

기초교리

정명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현조 댓글 0건 조회 5,898회 작성일 14-10-02 09:45

본문

공자의 정명론
공자는 경전을 새로이 해석하고 개인과사회, 자연과 인간 자기 독자의 사상을 가지고 있다. 사회에 대하여 공자는 질서 있고 안정된 사회를 이룩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正名의 확립이라고 생각했다.
우리가 실제사물에 붙인 이름 명과 그 내실의 일치를 말한다. 공자는 정치도 꼭 정명에 맡게 해야 한다. 공자는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백성은 백성에 맡은 임무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나중에 고대사회의 계급제의 양식이 되었다. 통치자의 본질은 왕도 곧 왕이 지켜야 할 도리에 있다고 보았다. 이를 다하지 못하는 군주는 이를 다하게 교육하고 가르치며 그래도 않되면 택군을 해야 한다.

仁義
공자는 주로 인과 덕을 강조했다. 특히 인를 중시 했다. 인은 정확히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것이 도덕 곧 덕의 길을 벗어나면 이를 利라고 말한다. 의와이는 상반된 개념이다. 논어에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고 말한다. 그래서 뒤에 유자들은 義利之分이라고 했다. 같은 이익를 취해도 덕으로 취하는 것과 이로 취하는 것의 구분이다.인은 愛人克己, 克己復禮라 말한다. 애는 타인에게 관대하고 자기에게 엄격한 극기를 말하는 것이다. 자기에게 엄격한 것이 곧 예이다. 이것이 인의 핵심이다.
의는 형식적이지만 인은 구체적이다. 인은 인간사회의 의무형식의 당위적인 본질이다. 의무의 구체적인 것은 남을 사랑하는 것 즉 인이다.
인이라 개별적 이고 포괄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인이라 완전한 덕을 이야기한다.


혼란한 시대의 삶의 모델 군자
기원전 7세기의 사회, 정치, 군대 생활이 주나라 조정의 정교한 제의적 의식을 닮아 가기 시작했다. 지상에 존재하는 하늘의 대응물로서 왕은 오염과 불순을 피해야 했기 때문이다. 노나라의 제의 개혁은 폭넓은 의미를 지니는 원칙에 기초를 두었다. 예는 전례를 실행에 옮기는 사람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이런 의식에서 관심을 쏟는 자의 신성함을 높여준다. 군주는 행동은 무위의 가 되어야 한다. 군주는 온전히 수동적이어야 한다. 전례는 군자의 지위와 위업을 고양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실행에 옮기기만 하면 조정에서 자기 중심주의를 몰아 낼 수도 있었다. 전쟁은 종교적 전례이다. 영적인 묵상에서 시작해, 조상에게 올리는 기도와 희생제로 이어졌다. 군자는 궁정의 생활에서도 아름다움과 우아함에 기여 해야한다. 둔자의 첫 번째 의무는 전 즉 성실함이다.예는 감정을 제어하는 것이고 전례는 무질서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는 쉽게 복수를 유발하는 호전적인 배외주의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아들은 효의 전례를 수행함으로써 부모의 몸에 신성함을 불어 넣는다. 예를 들면 부모님의 초상을 치르고 3년상을 하는 것은 부모님 내면의 신성함을 불러서 신를 만드는 것이다.
충서
논어 중궁의 인은 뜻을 물어 보니 공자는 배가 싫은 것 남에게도 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서는 애인의 인의 실현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마음이다. 자기가 복적을 이루려면 남을 이루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인을 실천하는 적극적인 면을 충이라고 한다. 소극적인 면을 恕(자기를 밝히는 것)라 한다. 남을 시키지 않고 자기가 하는 것을 충서의 도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무소 전화번호 : 02-395-1222

계좌안내 : 하나은행 753-810169-89707 [예금주 신흥사]